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외국인근로자 고용·취업 개요
-
- 외국인근로자 고용·취업 제도
-
- 외국인근로자 권리보호 제도
-
- 외국인근로자 권리구제 제도
- 외국인근로자 고용
-
- 외국인근로자 고용자격·범위
-
- 외국인근로자 고용절차
-
- 사용자 준수사항
-
- 외국인근로자 고용제한
- 외국인근로자 취업
-
- 외국인근로자 취업자격
-
- 외국인근로자 취업절차
-
- 외국인근로자 준수사항
-
- 외국인근로자 취업 지원 및 제한
- 국내체류 관련 정보
-
- 출·입국 및 체류
-
- 여성근로자 보호
-
- 국제결혼·자녀출생 및 사망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생활법령 내 검색
본문 영역
-
근로/노동 :
외국인근로자 고용·취업:
불법체류
조회수: 18325건 추천수: 4553건
-
- 불법체류인 상태로 공장에서 근무하다가 다쳤는데 회사에서 병원비를 줄 수 없다고 합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
불법체류 외국인근로자도 근로를 제공하는 한 근로자로 보아야 하므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판례(대법원 1995.9.15. 선고 94누12067 판결)는 “외국인이 취업자격이 아닌 산업연수 체류자격으로 입국하여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1994.12. 22. 법률 제4826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의 적용대상이 되는 사업장인 회사와 고용계약을 체결하고 근로를 제공하다가 작업 도중 부상을 입었을 경우, 비록 그 외국인이 구 출입국관리법상의 취업자격을 갖고 있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 고용계약이 당연히 무효라고 할 수 없고, 위 부상 당시 그 외국인은 사용 종속관계에서 근로를 제공하고 임금을 받아 온 자로서 근로기준법 소정의 근로자였다 할 것이므로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는 대상에 해당한다”고 하여 불법체류 근로자도 근로를 제공하는 한 근로자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관련생활분야 |
외국인근로자 고용·취업 > 외국인근로자 고용·취업 개요 > 외국인근로자 고용·취업 제도 >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의 외국인근로자 고용·취업 |
---|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