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차
하위 메뉴
-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개관
-
-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의 개념 및 적용범위
-
- 차별적 처우의 금지 및 시정 절차 등
-
-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를 위한 지원제도
- 기간제근로자
-
- 근로계약의 체결
-
- 기간제근로자의 근로보호
-
- 근로관계의 종료
- 단시간근로자
-
- 근로계약의 체결
-
- 단시간근로자의 보호
-
- 근로계약의 종료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생활법령 내 검색
본문 영역







※ 부당해고 더 알아보기(클릭)



※ 이를 위반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다만, 이 경우 피해자의 명시적인 의사에 반하여 공소를 제기할 수 없습니다(「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4조제1호).

※ 1주일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초단기시간근로자의 퇴직급여
사업주는 4주간을 평균하여 1주일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초단기시간 근로자에 대해서는 퇴직급여를 설정할 의무가 없습니다(
「근로자퇴직급여 보장 법」 제4조제1항 단서).

※ 퇴직금제도 더 알아보기(클릭)



※ 실업급여 더 알아보기(클릭)
내용과 무관한 글, 광고성 글, 상호 비방, 법적 책임을 동반할 수 있는 글은 참여자 등의 보호를 위하여 임의 삭제됩니다.
- 이 정보는 2021년 02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국민이 실생활에 필요한 법령을 쉽게 찾아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 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