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
수입물품의 원산지표시는 반드시 한글로 해야 하나요?수입물품의 원산지 표시는 한글, 한자 또는 영문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원산지 표시방법☞ 수입물품의 원산지는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방식으로 한글, 한자 또는 영문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원산지: 국명” 또는 “국명 산(産)”· “Made in 국명” 또는 “Product of 국명”· “Made by 물품 제조자의 회사명, 주소, 국명”· 수입물품의 크기가 작아 위의 방식으로 해당 물품의 원산지를 표시할 수 없을 경우에는 국명만 표시· “Brewed in 국명” 또는 “Distilled in 국명” 등 그 밖에 최종구매자가 원산지를 오인할 우려가 없거나 “Assembled in 국명” 등에서의 국명이 원산지와 동일한 경우· 물품의 주요 부분품의 원산지가 다른 경우 부분품별 원산지 표시
이 정보는 2023년 2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위 내용에 대한 오류 및 개선의견은 홈페이지 불편사항신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