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미세먼지 개관
-
- 미세먼지 개념 및 위해성
-
-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 계획
- 미세먼지 예보 및 경보
-
- 미세먼지 예보
-
- 미세먼지 경보
-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
-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개관
-
- 비상저감조치 유형
- 미세먼지 저감대책
-
- 미세먼지 저감 방안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미세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물질인 먼지(여과성먼지 및 응축성먼지 포함) 중 다음의 흡입성먼지를 말합니다(「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1호 및
「대기환경보전법」 제2조제6호).




<출처: 환경부, 『미세먼지!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2019, 2쪽>
※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먼지 직경에 따라 구분합니다. 미세먼지는 1000분의 10mm보다 작은 먼지이며, 초미세먼지는 1000분의 2.5mm보다 작은 먼지로 머리카락 직경(약 60㎛)의 1/20 ~ 1/30 크기보다 입자가 작습니다.
<출처: 환경부,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행 지침』, 96쪽>



Q. 미세먼지와 황사의 차이
A. 미세먼지는 아주 작은 크기의 모든 오염 물질을 말하며, 그 중 중국이나 몽골의 사막지역에서 발생한 흙먼지를 황사라고 합니다. 봄에 주로 나타나는 황사는 주요 성분이 칼슘이나 규소 등 토양성분이며,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 입자의 크기는 약 5~8㎛입니다.
<출처: 환경부, 『미세먼지!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2019, 2쪽>

※ 아래의 미세먼지의 위해성에 관한 내용은 환경부의 『미세먼지!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2019, 62쪽을 참고하였습니다.



※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대한의학회-질병관리청의 『미세먼지와 건강, 이럴 때는 어떻게 하죠?』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