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시간선택제 일자리란 근로자가 육아, 퇴직 준비, 건강, 돌봄, 학업 등의 사유로 전일제 근로자보다 짧게 일하면서 근로조건 등에 차별이 없는 일자리입니다.




구분 |
내용 |
육아와 일을 함께하는 여성근로자 |
·여성근로자가 원하는 시간만큼 일하면서 임신·출산·육아도 함께할 수 있어 직장생활을 계속 이어 갈 수 있습니다.
·시간선택제 일자리로 그 어느 쪽도 포기하기 어려운 가정과 직장생활을 모두 함께 할 수 있습니다. |
학업과 일을 병행하고자 하는 근로자 |
·공부하는 동시에 일이 필요한 경우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더 나은 일자리로 갈 수 있는 디딤돌도 됩니다.
·경제활동 지속으로 생애소득이 증가합니다. |
< 출처 : 「2018 시간선택제 일자리 안내서」 >

구분 |
내용 |
효율적인 인력 운영 시스템 마련 |
·탄력적인 인력 운영으로 특정 시간, 특정 기간에 업무역량을 집중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직원의 휴직·결근·이직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
구인난 해소, 유능한 인재 확보 |
·일과 가정, 일과 퇴직준비, 일과 학업의 병행이 필요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기업에 꼭 필요한 근로자의 이직을 방지하여 인력 채용 및 교육훈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인재 확보에 도움이 됩니다. |
기업 생산성 향상 |
·업무집중도를 높일 수 있어서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근로자의 업무피로도가 낮아져 근로손실(산업재해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 출처 : 「2018 시간선택제 일자리 안내서」 >
※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관한 내용은 일-생활 균형 홈페이지(http://www.worklife.kr/)의 시간선택제 일자리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2023년 2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위 내용에 대한 오류 및 개선의견은 홈페이지 불편사항신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