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
-
-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 생물자원 보호
-
- 생물자원 국외반출 및 획득 신고
- 외래생물 등 규제
-
- 유입주의 생물
-
- 생태계교란 생물
-
-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
- 외래생물 확인 및 신고
- 생태계서비스 보전 및 증진
-
- 생태계서비스 보호에 따른 보상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주요 생태계교란 생물 |
특징 |
뉴트리아 |
▪ 뉴트리아의 원산지는 남아메리카로 우리나라에는 1985년 모피와 식용으로 수입됨
▪ 경제성이 떨어지는 이유 등으로 사육 포기 농가 발생, 사육농가에 대한 관리 미흡 등의 사유로 자연생태계로 유출·정착
▪ 뉴트리아의 서식지는 과거 뉴트리아 사육이 이루어진 지역을 중심으로 낙동강 및 한강수계(남한강 지역), 제주 지역 등에서 서식개체가 확인됨
▪ 특히, 생태계보전지역이며 람사르 습지로 널리 알려진 창녕 우포늪에 뉴트리아가 서식함
▪ 뉴트리아는 천적이 거의 없어 우포늪의 수생식물과 희귀식물을 먹고, 주변 농업지역의 작물에도 피해를 줌 |
가시박 |
▪ 가시박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일년생 덩굴식물
▪ 수목을 뒤덮고 자라는 생태특성으로 우리나라 자생 식물의 광합성을 억제하여 성장을 저해함
▪ 개체당 수천 개의 종자가 열리며, 종자에 가시가 많아 제거에 많은 노력이 필요 |

※ 국내 피해사례



① 국내의 자연생태계에서 번식력과 적응력이 강하여 분포역과 개체군이 급격히 증가
② 뛰어난 식성으로 토착어종과의 서식지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며 하천과 호소 내 생태계를 교란. 특히 큰입배스(배스)는 공격력이 강한 육식성 어종으로 국내의 토착어종과 새우류 등을 섭식하므로 토착어종의 감소를 초래
③ 고유어종을 희소종으로 전락시키거나 소멸시켜 생물다양성이 급격히 감소




① 고유 하천생물의 포식으로 인한 생태계교란
② 우리나라 고유 양서류 중에서 개구리과의 종들과 경쟁하여 우세하므로 고유종의 개체수 감소 및 서식처 잠식
③ 토종 어류의 포식자로 어류자원의 다양성 감소 초래



① 국내에 천적이 없고 동물과 식물을 가리지 않는 잡식성으로 하천과 호수의 생태계 먹이사슬을 서서히 잠식
② 붉은귀거북은 내성이 강하여 3~4급수의 수질에서도 충분히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확산·분포력이 강함
③ 우리나라 고유의 어류, 수서곤충, 양서류 등을 포식하여 고유종의 개체수 및 어류자원의 감소 유발
< 출처: 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kias.nie.re.kr) – 생태계교란 생물 – 피해사례 참조 >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