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산업재해보상보험 알아보기
-
- "산업재해보상보험"이란?
-
- 업무상 재해와 산업재해보상 보험급여
- 산업재해보상보험 가입 등
-
- 산업재해보상보험 가입 및 보험료 징수
-
- 산업재해보상보험 가입 특례
- 사고로 인한 업무상 재해
-
- 사고로 인한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
-
- 사고로 인한 업무상 재해의 구체적 인정기준
- 질병으로 인한 업무상 재해
-
- 질병으로 인한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
-
- 업무상 질병의 인정기준
-
- 진폐에 대한 업무상 질병 인정기준
-
- 건강손상자녀에 대한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생활법령 내 검색
본문 영역

작업 중 발생한 압착증, 감압병, 공기색전증, 산소결핍증 등 물리적 요인에 의한 질병은 업무상 질병으로 봅니다.


√ 폐, 중이(中耳), 부비강(副鼻腔) 또는 치아 등에 발생한 압착증
√ 물안경, 안전모 등과 같은 잠수기기로 인한 압착증
√ 질소마취 현상, 중추신경계 산소 독성으로 발생한 건강장해
√ 피부, 근골격계, 호흡기, 중추신경계 또는 속귀 등에 발생한 감압병(잠수병)
√ 뇌동맥 또는 관상동맥에 발생한 공기색전증(기포가 동맥이나 정맥을 따라 순환하다가 혈관을 막는 것)
√ 공기가슴증, 혈액공기가슴증, 가슴세로칸(종격동), 심장막 또는 피하기종
√ 등이나 복부의 통증 또는 극심한 피로감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