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마약 중독으로 여러 차례 치료를 받은 후, 이제 사회로 복귀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마약류중독자가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A. 마약류중독자는 함께한걸음센터 및 지역별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해 상담, 치료, 재활 및 사회복귀를 위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이 내용은 법제처 《법제소식》 2025년 3월호에 기재된 내용으로(2025. 2. 10. 기준), 추후 법령정보가 업데이트되지 않습니다.
◇ 함께한걸음센터
☞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는 마약류 중독 사회재활 핵심 인프라인“함께한걸음센터”를 통해 교육·상담프로그램 등 마약류 중독 사회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출처: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www.drugfree.or.kr)-중독재활센터/상담-중독재활센터-중독재활센터 참조].
☞ “함께한걸음센터”는 전국 17개소가 운영 중이며, “한걸음1342”를 통해서는 24시간 전화상담(☎ 1342)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설치·운영
☞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마약 등 중독 문제와 관련한 종합적인 지원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할 수 있으며, 수행하는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15조의3제1항 및 제2항).
ㆍ 지역사회 내 중독자의 조기 발견 체계 구축
ㆍ 중독자 대상 상담, 치료, 재활 및 사회복귀 지원 사업
ㆍ 중독폐해 예방 및 교육사업
ㆍ 중독자 가족에 대한 지원 사업
ㆍ 그 밖에 중독 문제의 해소를 위해 필요한 사업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이용대상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이용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출처: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정보보털-정신건강관련기관-기관 소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참조].
ㆍ 지역사회 내 마약중독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 중독자와 그 가족 등 지역주민
ㆍ 의료기관 또는 시설 등에서 퇴원(소)한 중독자로서 사회적응훈련을 필요로 하는 중독자
ㆍ 그 밖에 중독관련 상담 및 재활훈련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