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SMART 생활법률

qr코드 모바일
앱 다운로드

본문 영역

  • 주소복사

악취의 배출허용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 악취방지| 03 악취관리지역 지정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로고
www.easylaw.go.kr
  • 악취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악취 배출허용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로고
www.easylaw.go.kr
  • 악취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악취의 배출허용기준의 설정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복합악취
배출구
배출허용기준(희석배수)
공업지역 100 이하
기타지역 500 이하
부지경계선
배출허용기준(희석배수)
공업지역 20 이하
기타 지역 15이하
※ “희석배수”란 채취한 사료를 냄새가 없는 공기로 단계적으로 희석시켜 냄새를 느낄 수 없을 때까지 최대한 희석한 배수를 말합니다.
  • 2. 지정악취물질
암모니아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2 이하
기타 지역 1 이하
메틸메르캅탄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004 이하
기타지역 0.002 이하
황하수소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06 이하
기타지역 0.02 이하
다이메틸설파이드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05 이하
기타지역 0.01 이하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0.03 이하
기타지역 0.009 이하
트라이메틸아민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02 이하
기타지역 0.005 이하
아세트알데하이드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02 이하
기타지역 0.005 이하
스타이렌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01 이하
기타지역 0.05 이하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8 이하
기타지역 0.04 이하
뷰틸알데하이드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1 이하
기타지역 0.05 이하
적용시기 2005년 2월 10일부터
  • 2. 지정악취물질
n-발레르알데하이드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02 이하
기타지역 0.009 이하
작용시기 2005년 2월 10일부터
i-발레르알데하이드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006 이하
기타지역 0.003 이하
적용시기 2005년 2월 10일부터
톨루엔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30 이하
기타지역 10 이하
적용시기 2008년 1월 1일부터
자일렌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2 이하
기타지역 1 이하
적용시기 2008년 1월 1일 부터
메틸에틸케톤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35 이하
기타지역 13 이하
적용시기 2008년 1월 1일부터
메틸아이소뷰틸케톤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3 이하
기타지역 1이하
적용시기 2008년 1월 1일부터
뷰틸아세테이트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4 이하
기타지역 1 이하
적용시기 2008년 1월 1일 부터
프로피온산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07 이하
기타지역 0.03 이하
적용시기 2010년 1월 1일부터
n-뷰틸산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002 이하
기타지역 0.001 이하
적용시기 2010년 1월 1일부터
n-발레르산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002 이하
기타지역 0.0009 이하
적용시기 2010년 1월 1일부터
i-발레르산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0.004 이하
기타지역 0.001 이하
적용시기 2010년 1월 1일 부터
i-뷰틸알코올 배출허용기준(ppm)
공업지역 4.0 이하
기타지역 0.9 이하
적용시기 2010년 1월 1일부터
  • 자세한 법령정보가 궁금하다면?
찾기 쉬운 생활법령정보, 
악취방지콘텐츠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로고
www.easylaw.go.kr
이 정보는 2025년 3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위 내용에 대한 홈페이지 개선의견은 홈페이지 개선의견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