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회사제도 이해하기
-
- 회사와 유한책임회사
- 유한책임회사 설립
-
- 사원구성 및 정관작성 등
-
- 설립 시 출자이행
-
- 설립등기 및 법인신고 등
- 유한책임회사의 운영
-
- 업무집행 및 대표권
-
- 사원의 지분
-
- 사원의 가입과 탈퇴
-
- 본점과 지점
-
- 유한책임회사의 회계
- 회사의 합병, 소멸 등
-
- 영업양도, 합병, 조직변경 등
-
- 유한책임회사의 소멸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생활법령 내 검색
본문 영역

존립기간의 만료나 그 밖에 정관으로 정한 사유의 발생, 총사원의 동의, 합병, 파산, 법원의 명령 또는 판결, 사원이 없게 된 경우에는 회사의 해산사유가 됩니다.
유한책임회사 해산사유 중 ① 존립기간의 만료나 그 밖에 정관으로 정한 사유의 발생 및 ② 총사원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는 사원의 전부 또는 일부의 동의로 회사를 계속할 수 있습니다.
유한책임회사 해산사유 중 ① 존립기간의 만료나 그 밖에 정관으로 정한 사유의 발생 및 ② 총사원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는 사원의 전부 또는 일부의 동의로 회사를 계속할 수 있습니다.




1. 존립기간의 만료나 그 밖에 정관으로 정한 사유의 발생
2. 총사원의 동의
3. 합병
4. 파산
5. 법원의 명령 또는 판결
6. 사원이 없게 된 경우
구분 |
해산명령 |
해산판결 |
사유 |
① 회사의 설립목적이 불법한 것인 때, ② 회사가 정당한 사유 없이 설립 후 1년 내에 영업을 개시하지 않거나 또는 1년 이상영업을 휴지(休止)하는 때, ③ 이사 또는 회사의 업무를 집행하는 사원이 법령 또는 정관을 위반하여 회사의 존속을 허용할 수 없는 행위를 한 때(「상법」 제176조제1항) |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때(「상법」 제287조의42 및 제241조) |
절차 |
① 이해관계인의 청구, ② 검사의 청구, ③ 법원의 직권(「상법」 제176조제1항) |
각 사원의 청구(「상법」 제287조의42 및 제241조제1항) |
적용법률 |
||
재판관할 |
본점소재지의 지방법원합의부(「비송사건절차법」 제72조제1항) |
본점소재지의 관할지방법원(「상법」 제287조의42, 제241조제2항 및 제186조) |
효과 |
해산명령재판의 확정으로 해산(「상법」 제287조의38) |
각사원이 승소한 경우 판결의 확정으로 해산(「상법」 제227조제6호)하며, 각 사원이 패소한 경우에는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있는 때에는 각 사원은 회사에 대하여 연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부담(「상법」 제287조의42, 제241조제2항 및 제191조) |


※ 등기신청인이 해산등기를 등기기간 내에 하지 않은 때에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다만, 위반행위에 형(刑)을 받는 경우에는 과태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상법」 제635조제1항 단서 및 제1호).







※ 해산등기를 하려면 40,200원의 등록면허세와 등록면허세 100분의 20의 지방교육세 및 6,000원의 등기신청수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지방세법」 제28조제1항제6호, 제151조 및 「등기사항증명서 등 수수료규칙」 제5조의3제2항).





※ 등기신청인이 회사계속 등기를 등기기간 내에 하지 않은 때에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다만, 위반행위에 형(刑)을 받는 경우에는 과태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상법」 제635조제1항 및 제1호).










※ 회사계속등기를 하려면 40,200원의 등록면허세와 등록면허세 100분의 20의 지방교육세 및 6,000원의 등기신청수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지방세법」 제28조제1항제6호, 제151조 및 「등기사항증명서 등 수수료규칙」 제5조의3제2항).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