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상가건물 임대차 개관
-
- 상가건물 임대차 개요
-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상가건물 임대차
- 상가건물 임대차계약
-
- 계약 전 확인 사항
-
- 임대차계약
-
- 보증금의 보호
- 상가건물의 사용·수익
-
- 임차료
-
- 당사자의 권리·의무
-
- 임차권의 양도 및 전대차
-
- 임대차계약의 갱신
- 임대차의 종료
-
- 임대차의 종료
-
- 보증금의 회수
-
- 투하 비용의 회수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
부동산/임대차 :
상가임대차:
묵시의 갱신
조회수: 21859건 추천수: 5000건
-
- 서울에서 보증금 2억원의 상가에서 분식점을 2년째 운영하고 있는데, 계약기간 2년이 만료되었습니다. 서로 말이 없이 계약기간을 마쳤는데, 이렇게 되면 다시 2년으로 재계약이 되는지요?
-
1년으로 재계약된 것으로 봅니다.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만료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에 임차인에게 갱신거절의 통지를 하지 않거나 계약조건을 변경하지 않으면 갱신하지 않는다는 뜻의 통지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기간이 끝난 때에는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간주합니다.다만, 묵시적으로 갱신되면 임대차의 존속기간은 1년으로 봅니다.◇ 계약 자동 갱신☞ 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만료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에 임차인에게 갱신거절의 통지를 하지 않거나 계약조건을 변경하지 않으면 갱신하지 않는다는 뜻의 통지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임대차 기간이 끝나고 다시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임대차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자동 갱신의 효과☞ 이에 따라 상가건물 임대차계약이 자동 갱신되면 종전의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보증금과 차임도 종전의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임대차한 것으로 됩니다. 다만, 임대차의 존속기간은 1년으로 봅니다.◇ 자동 갱신된 임대차계약의 해지☞ 상가건물 임대차계약이 묵시적으로 자동 갱신된 경우 임차인은 언제든지 갱신된 임대차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임차인이 임대차계약을 해지하는 경우에는 임대인이 통지를 받은 날부터 3개월이 지나면 그 효력이 발생합니다.
관련생활분야 | |
---|---|
관련법령 |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