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차
하위 메뉴
- 장기 기증ㆍ이식 개요
-
- 장기기증ㆍ이식 개요
- 장기기증
-
- 살아있는 사람의 장기기증
-
- 뇌사자의 장기기증
-
- 사망한 사람의 장기기증
- 장기 이식
-
- 이식대상 장기
-
- 장기이식 대상자 등록 및 선정
- 장기 외 기증
-
- 인체조직기증ㆍ이식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뇌사로 추정되는 사람(뇌사판정대상자)의 장기기증을 위해 뇌사판정을 받고자 하는 사람은 뇌사판정을 신청해야 합니다.
뇌사판정 신청을 받은 뇌사판정기관은 뇌사판정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한 후 뇌사판정위원회에 뇌사판정을 신청합니다.
뇌사판정은 뇌사판정기관의 뇌사판정위원회에서 결정하며 뇌사판정위원회의 뇌사판정이 이루어지면 뇌사판정대상자는 뇌사자가 됩니다.
뇌사판정 신청을 받은 뇌사판정기관은 뇌사판정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한 후 뇌사판정위원회에 뇌사판정을 신청합니다.
뇌사판정은 뇌사판정기관의 뇌사판정위원회에서 결정하며 뇌사판정위원회의 뇌사판정이 이루어지면 뇌사판정대상자는 뇌사자가 됩니다.












※ “가족”이란 배우자·직계비속·직계존속·형제자매를 말하며 이러한 가족이 없는 경우에는 4촌 이내의 친족을 말합니다. 다만, 14세 미만인 사람은 뇌사판정을 신청할 수 있는 가족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제4조제6호).

※ 법정대리인 또는 진료담당의사는 뇌사추정자가 뇌사 전에 장기를 기증할 의사표시를 하여 장기이식등록기관에 장기기증희망자로 등록한 사람인 경우에만 뇌사판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제17조제3항제2호 후단).









※ 뇌사판정기관의 위치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생명나눔관련기관-장기-뇌사판정 의료기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뇌사판정위원회의 구성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콘텐츠의 <장기기증·이식 개요-장기기증·이식 개요-장기기증·이식 관련기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2022년 4월 29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위 내용에 대한 오류 및 개선의견은 홈페이지 불편사항신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