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SMART 생활법률

qr코드 모바일
앱 다운로드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

목차

하위 메뉴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생활법령 내 검색

생활법령 내 검색

본문 영역

 실내 공기 중 라돈 측정
라돈측정기를 사용하여 실내 공기 중 라돈 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실내 공기 중 라돈 측정 방법
다음에 따라 라돈측정기를 사용하여 실내 공기 중 라돈 농도를 측정합니다[「생활 속의 방사선 바로 알기」(원자력안전위원회, 2020. 11.) 26면].
1. 측정 전 반드시 실내 공기를 30분 가량 환기시켜 줍니다.
2. 환기 후 창문 및 방문을 닫아 측정 장소를 밀폐시킵니다.
3. 측정 대상 공간에서 48시간 이상 측정하며, 주택 내 실내 라돈을 측정하는 경우 측정기로 거실의 중앙점에서 바닥면으로부터 1.2~1.5m 높이에서 고정하고 측정합니다.
Q. 대여한 라돈측정기로 집안의 공기질을 측정해도 되나요?
A. 아니요. 라돈측정기 우편대여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자가측정 매뉴얼은 가공제품 측정에 맞게 작성되었으며 이는 건축자재 및 실내 공기 질 측정에 맞는 측정방법이 아닙니다. 실내 공기질 측정과 관련해서는 환경부에서 라돈 무료측정 및 저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환경부 민원 센터(☎ 1577-8866)로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민원안내집 생활방사선 안전관리」(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2021. 1.)136면 참조>
Q. 제가 측정한 라돈 수치가 위험한 수치인지 알고 싶어요.
A. 라돈은 기체 형태의 방사성핵종이므로 공간 내 환기 정도에 따라 방사능 농도가 달라집니다. 측정하신 결과가 환경부에서 정한 다중이용시설의 권고기준인 148 베크렐(Bq/㎥)의 2~3배를 초과하는 경우 다음에 따를 것을 권고드립니다.
실내(방) 측정: 환기를 더욱 자주 시행
신체 밀착 제품(매트리스, 장신구 등) 측정: 라돈측정기 우편대여 서비스 신청 등 문의
화분 토양(마사토) 등: 실외 또는 베란다로 이동
<출처: 「민원안내집 생활방사선 안전관리」 135면 참조>
라돈 측정 시 주의사항
실내공기 중 라돈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건축자재, 벽, 바닥, 천장 등으로부터 50cm 이상 떨어뜨려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건축자재 라돈 저감·관리 지침서」(환경부, 국토교통부, 원자력안전위원회, 2019. 11.) 4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9f0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7pixel, 세로 661pixel
<출처:「생활 속의 방사선 바로 알기」 27면 참조>
※ 실내라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사이트의 『실내공기질 관리』 콘텐츠 <실내공기질 오염물질 관리-실내라돈관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2024년 12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위 내용에 대한 홈페이지 개선의견은 홈페이지 개선의견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