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SMART 생활법률

qr코드 모바일
앱 다운로드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

목차

하위 메뉴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생활법령 내 검색

생활법령 내 검색

본문 영역

 생활주변방사선의 이해
방사선은 우리가 생활하는 환경 어디에서나 존재합니다.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생활주변방사선”이란?
“생활주변방사선”이란 일상생활 속에서 존재하는 방사선으로 자연방사선과 인공방사선을 모두 포함하며, 우주방사선, 지각방사선, 건물이나 땅에서 나오는 라돈, 원료물질에 포함된 천연방사성물질에서 나오는 방사선 등이 해당됩니다[「원료물질, 공정부산물 취급자, 가공제품 제조업자가 알아야 할 생활주변방사선 이야기」(한국원자력안전재단, 2021. 12.) 11면].
자연방사선은 양이 대체로 적어 안전관리대상이 아니었으나 산업의 발전, 해외여행 증가 등으로 생활 속 방사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지침」(원자력안전위원회, 2024. 11.) 2면].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에 따른 생활주변방사선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는 생활주변방사선은 다음과 같습니다(「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제2조제1호).
원료물질, 공정부산물(工程副産物) 및 가공제품에 포함된 천연방사성핵종(天然放射性核種)에서 방출되는 방사선(다만, 「원자력안전법」에 따라 관리되는 핵물질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은 제외)
우주방사선: 태양 또는 우주로부터 지구 대기권으로 입사(入射)되는 방사선
지각방사선: 지구표면의 암석 또는 토양에서 방출되는 방사선
국내 또는 외국에서 수집되어 판매되거나 재활용되는 고철에 포함된 방사성물질에서 방출되는 방사선
천연방사성핵종은 주변 어디에나 존재하고, 모든 광물과 산업원료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천연방사성핵종
“천연방사성핵종”이란 자연으로부터 유래하는 우라늄 또는 토륨 등의 방사성핵종을 말하며, 주변 환경 어디에나 존재하고 모든 광물과 산업 원료에 포함되어 있습니다[「생활 속의 방사선 바로 알기」(원자력안전위원회, 2020. 11.) 13면].
원료물질
“원료물질”이란 우라늄 235, 우라늄 238, 토륨 232와 라돈 220 및 라돈 222 등 각각의 붕괴계열 내의 핵종 또는 포타슘 40 등 천연방사성핵종이 포함된 물질로서 다음의 방사능 농도와 수량을 초과하는 것을 말합니다(「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제2조제2호 및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 제2조).
포타슘 40의 농도는 그램(g)당 1 베크렐(Bq), 그 밖에 모든 천연방사성핵종은 그램당 0.1 베크렐
연간 취급하는 원료물질에 포함된 천연방사성핵종의 방사능량은 100,000 베크렐
생활주변방사선 관련 단위
베크렐(Bq) : 1초 동안에 1개의 원자핵이 붕괴하는 방사능
시버트(Sv) : 인체가 방사선을 받았을 때의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
<출처:「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지침」 3면 참조>
공정부산물
“공정부산물”이란 원료물질이나 그 밖의 물질을 취급하는 시설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물질로서 다음의 방사능 농도를 초과하는 천연방사성핵종이 포함된 물질을 말합니다(「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제2조제3호 및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 제3조).
포타슘 40: 그램당 5 베크렐
그 밖에 모든 천연방사성핵종: 그램당 0.5 베크렐
가공제품
“가공제품”이란 원료물질 또는 공정부산물을 가공하거나 이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제품을 말합니다(「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제2조제4호).
방사선은 우리가 생활하는 환경 어디에나 존재합니다.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생활 속의 방사선
자연환경 및 일상생활 등 방사선이 나오는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질병관리청-건강위해정보-방사선-생활 속의 방사선).

구 분

내 용

자연환경 및 일상생활

자연환경에서 우주 방사선, 대지 방사선이 있으며 일상생활에서도 항공 여행, 공항 보안 검색대, 건축 자재, 흡연 등에서 나오는 방사선이 있습니다.

의료분야

방사선은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증상(진단)의 원인을 찾고 건강 상태를 관리 또는 치료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 CT, PET 촬영, 핵의학, 유방조영술, 치과용 X-선 촬영 등

농업분야

식물의 종자나 묘목에 방사선을 쪼였을 때 일어나는 돌연변이 과정을 이용해서 품종을 개량하거나 새로운 품종을 개발할 때 이용합니다.

산업분야

산업현장에서 공정이나 제품의 상태를 감시하고 관리합니다.

방사선을 이용하여 물체의 두께, 밀도, 성분 등을 파악하고 내부를 쉽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비파괴검사, 방사선 게이지).

생활 속 자연방사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be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7pixel, 세로 316pixel
<출처:「생활 속의 방사선 바로 알기」 5면 참조>
<생활주변방사선 정보서비스(https://cisran.kins.re.kr)> 안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원료물질 또는 공정부산물의 유통현황, 가공제품의 제조 또는 수출입 현황 및 우주방사선 안전관리 현황 등 생활주변방사선의 안전관리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생활주변방사선 정보서비스 홈페이지>를 구축·운영하고 있습니다(「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제25조제1항 참조).
<생활주변방사선 정보서비스>를 통해 생활주변방사선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취급자 또는 등록제조업자의 등록신청, 등록변경 신고, 수출입 신고 등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생활주변방사선 정보서비스(https://cisran.kins.re.kr) 참조].
이 정보는 2024년 12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위 내용에 대한 홈페이지 개선의견은 홈페이지 개선의견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