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공연장 안전관리 알아보기
-
- “공연장 안전관리”란?
- 시설 안전관리하기
-
- 무대시설 안전
-
- 소방시설 안전
-
- 그 밖의 시설 안전
- 안전사고 예방하기
-
- 안전사고의 이해
-
- 안전사고 예방조치
- 안전사고 대처하기
-
- 안전사고 발생 시 조치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사고 시점 |
사고 유형 |
사고 사례 |
무대 설치 및 준비 중 |
일반 화재 |
• 조명기 사용 중 색상지 종이 프레임에 화재가 발생한 사고 • 리허설 중 무대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한 사고 |
전기 화재 |
• 조명봉에 화재가 발생한 사고 • 전기제어반의 점검등에서 화재가 발생한 사고 • 디머의 과부화로 화재가 발생한 사고 |
|
공연 중 |
일반 화재 |
• 공연 중 객석에 화재가 발생한 사고 • 공연 중 조명으로 인해 커튼에 화재가 발생한 사고 • 조명기 내 먼지 연소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한 사고 • 폭죽이 시설물에 옮겨붙어 화재가 발생한 사고 |
전기 화재 |
• 무대 측면 콘센트에 화재가 발생한 사고 • 조명기 전원선에서 과열이 발생한 사고 |
|
무대 해체 중 |
일반 화재 |
• 조명에 대한 부주의한 관리로 화재가 발생한 사고 |
사고 시점 |
사고 유형 |
사고 사례 |
무대 설치 및 준비 중 |
넘어짐 |
• 관객이 로비에서 미끄러진 사고 |
추락 |
• 조명 램프 교체 중 사다리가 미끄러져 사람이 추락한 사고 • 연주승강무대 아래로 사람이 추락한 사고 |
|
끼임 |
• 연주승강무대에 사람이 끼인 사고 |
|
공연 중 |
추락 |
• 가설 객석 바닥이 붕괴되어 관객이 다친 사고 • 배우가 무대장치의 고장으로 추락한 사고 |
압사 |
• 무대 앞으로 사람이 몰리며 넘어진 사고 • 정원 초과 입장으로 관객이 부딪힌 사고 |
|
끼임 |
• 무대 기계기구에 발이 끼인 사고 |
|
무대 해체 중 |
추락 |
• 가설무대 상부 구조물에서 사람이 추락한 사고 |
사고 시점 |
사고 유형 |
사고 사례 |
공연 중 |
정전 |
• 프레스 리허설 중 과부하로 인해 정전이 발생한 사고 • 변전소 노후화로 인해 지역에 정전이 발생한 사고 • 건물 전기시설 공사 중 단락으로 인해 정전이 발생한 사고 |
사고 시점 |
사고 유형 |
사고 사례 |
공연 중 |
낙하 |
• 지진으로 인해 객석 마감재가 떨어져 바닥으로 낙하한 사고 • 지진으로 인해 출연자의 머리에 평형추가 추락한 사고 |
이탈 |
• 지진으로 인해 스피커 및 스피커에 고정된 와이어로프가 이탈한 사고 • 지진으로 인해 바닥 고정 볼트가 이탈하여 바닥재가 손상된 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