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우울증, 도움받을 수 있나요?
-
- 정신건강 살펴보기
-
- 마음을 이야기해요.
- 우울증 치료를 응원합니다.
-
- 정신건강(우울증 등) 치료비 지원 서비스
- 고독사 예방 정책을 알아볼까요?
-
- 고독사의 개념을 이해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 고독사 방지를 위한 정책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생활법령 내 검색
본문 영역






※ 대한정신건강재단 해피마인드 홈페이지(https://www.mind44.co.kr/index.php)-상담실을 이용하시면 우울증 전문 온라인 상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 G-health 온라인 민원서비스 홈페이지(www.g-health.kr)-보건소식-보건기관 찾기를 이용하시면 전국 보건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홈페이지(www.kfsp.org)를 이용하시면 전국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자살예방센터의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을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특별시 사례]
1. 서울특별시에서는 우울증에 대한 심리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마음건강검진 지원>
• 마음건강검진은 19세 이상 서울 시민 누구나 이용[정신건강의학과 초진(해당 의료기관 1년 동안 미방문자)에 해당하는 경우]할 수 있습니다.
• 심한 스트레스, 우울감 등 기타 심리적 어려움이 있는 사람은 마음건강검진 및 상담 비용을 지원(3회차까지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 검진 및 상담 시 발생되는 비용 및 본인부담금에 대해 1인당 8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방문 횟수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약제비는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
<마음건강상담 지원>
• 마음건강상담은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19세~39세 청년에 한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상담은 최대 7회기(1회기 50분) 전문가에게 심리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또한, 서울특별시에서는 우울증에 대한 의료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병원 기반 사례관리 지원>
• 퇴원을 준비하는 중증정신질환자(반복성 우울증 포함)를 대상으로 하며, 입원에서 외래치료로의 전환에 따른 치료 연속성 확보와 퇴원 후 초기 적응을 위한 단기 집중 사례관리(개별화된 개입 계획에 따라 상담, 투약관리 및 외래동행, 정신건강교육, 가족교육, 사회기술훈련 등을 제공함)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서울특별시 블루터치 홈페이지(blutouch.net)-정신건강 서비스 안내 참조>
구분 |
상담기관 및 연락처 |
우울감 등 정신과적 상담 |
•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상담 ☎109
•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상담 ☎1577-0199 |
학생 청소년 정신과적 상담 |
• 청소년 사이버상담센터 ☎1388
• 청소년모바일상담센터(1661-5004: 다들어줄개-카카오톡/페이스북/문자) |
경제·법률 상담 |
• 서민금융콜센터 ☎1397
• 신용회복위원회 ☎1600-5500
• 대한법률구조공단 ☎132 |
취업 지원 상담 |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 |
여성 지원 상담 |
•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여성긴급전화 ☎1366
• 여성새로일하기센터 ☎1544-1199 |
※ 청년 심층(전문) 상담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사이트(www.easylaw.go.kr)의 『청년취업지원』 콘텐츠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가 트라우마센터 홈페이지(nct.go.kr)를 이용하시면 코로나19로 인한 감염병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정신건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