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고령자 고용안정 지원
-
- 고령자 고용안정을 위한 지원
- 고령자 구직 준비하기
-
- 고령자 일자리를 찾고 싶어요.
- 연령별 고령자 일자리 찾기
-
- (40대 이상) 전직 및 재취업을 하고 싶어요.
-
- (50대 이상) 공공일자리를 찾고 싶어요.
-
- (60대 이상) 일자리를 찾고 싶어요.
- 고령자 고용사업주에 대한 지원
-
- 고령자를 고용한 사업주를 지원합니다.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 “신중년”이란 만 50세 이상 65세 미만인 사람을 말하고, “경력형 일자리”란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여 제공하는 지역 내 사회서비스 등의 일자리로 일정 수준의 경력, 자격 등이 요구되는 일자리를 말합니다(고용노동부 『2024년도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사업 운영지침』 8면).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예시
① 마케팅·회계 등 분야별 신중년 경력자 활용 – 지역 내 사회적기업 등 사회적 경제기업 경영개선 지원
② 드론자격증 보유한 신중년 채용 – 산림, 해양, 환경, 교통, 건축 등 도시 안전 시스템 점검 및 관리 지원
③ 바이오 자문위원 활용 – 지역 내 바이오 전문가를 채용하여 지역대표산업인 발효미생물 분야 전문자문 지원
<출처: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정책자료-대상자별 정책-중장년-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참조>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사업 운영 우수사례
① 서울 강서구는 ICT-HRD 프로그램 개발, 특성화고 대상 교육 운영 및 콘텐츠 개발 등 활동을 통해 참여자의 전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참여자 6명 중 4명이 관련 업종에 재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함
② 대전광역시는 금융기관 퇴직 전문 인력을 활용하여 지역의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예비 창업자 등을 대상으로 1:1 금융 컨설팅을 실시하여 재정건전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한 동시에, 참여자에게는 생애경력설계 및 전직 스쿨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재취업을 지원함
③ 경상남도는 산업안전 전문가를 활용하여 지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및 작업환경 개선 등 산업안전 컨설팅을 실시하여 산업안전 문화 정착에 기여한 동시에, 참여자들이 사업 종료 후 관련 직종으로 재취업할 수 있도록 직무역량 강화 교육 등을 지원함
<출처: 고용노동부 공식 블로그, 고용노동부, 자치단체 대상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사업」 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