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스토킹과 데이트폭력
-
- 스토킹과 데이트폭력이 범죄?!
- 도움 요청하기
-
- 어디로 도움을 요청해야 하나요?
-
- 신고하면 어떤 조치가 취해지나요?
- 피해자 보호·지원받기
-
- 피해유형별 보호·지원제도
-
- 피해회복 지원과 피해예방 노력
- 2차 피해 예방 및 개인정보 보호
-
- 2차 피해 예방하기
-
- 개인정보 보호하기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구 분 |
보조사업자 |
구조비 지원기준 |
성폭력 |
·대한법률구조공단 ·대한변협법률구조재단 ·(사)한국성폭력위기센터 |
·변호사 수임료는 심급별로 지원(선금)하되, 본안 사건은 150만원, 재정 및 항고신청 등은 40만원 지원 |
가정폭력 |
·대한법률구조공단 ·대한변협법률구조재단 ·한국가정법률상담소 |
|
스토킹·데이트폭력 |
·대한법률구조공단 ·대한변협법률구조재단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사)한국성폭력위기센터 |








구 분 |
지원기준 |
세부 지원기준 |
성폭력 |
·비급여 심리치료를 제외한 치료보호에 소요된 비용전액 지원 ·비급여 심리치료를 지원하는 경우 회기당 20만원 이내로 함(회당 20만원 초과시 자부담) |
·1회 100만원 이상의 고액의 검사·비급여항목 지원 요구 또는 총 진료비용 500만원 초과 시 ① 주치의 소견서 검토, ② 내부 사례회의 또는 외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지원 여부 결정 |
가정폭력 |
·치료보호에 소요된 비용 전액 지원 |
·총 진료비용 500만원 초과 시 ① 주치의 소견서 검토, ② 내부 사례회의 또는 외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지원 여부 결정 |

구 분 |
내 용 |
성폭력 |
·피해발생 후 경과기간에 관계없이 의료비 지원 ·피해발생 후 2년 이상이 경과하여 치료가 필요할 경우에는 피해사실과 인과관계 및 치료의 필요성 등을 확인하기 위해 의사 소견서 첨부 |
가정폭력 |
·피해발생 후 5년 이내 범위에서 경과기간에 관계없이 의료비 지원 ·피해발생 후 1년 이상이 경과한 치료에 대해서는 피해사실과 인과관계 및 치료의 필요성 등을 확인하기 위해 의사 소견서 첨부 |











성폭력 보호시설 |
가정폭력 보호시설 |
||
구 분 |
입소기간 |
구 분 |
입소기간 |
·일반보호시설 |
1년 이내 |
·단기보호시설 |
6개월 |
·장애인보호시설 |
2년 이내 |
·장기보호시설 |
2년 이내 |
·특별지원 보호시설(19세 미만 피해자) |
18세까지 |
·외국인보호시설 |
2년 이내 |
·외국인보호시설 |
1년 이내 |
·장애인보호시설 |
2년 이내 |
·자립지원 공동생활시설 |
2년 이내 |
|
|
·장애인 자립지원 공동생활시설 |
2년 이내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