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차
하위 메뉴
- 전자금융범죄 알아보기
-
- 전자금융범죄의 유형 및 현황
- 전자금융범죄 유형별 피해사례 및 대처방안
-
- 피싱(Phishing)
-
- 스미싱(Smishing)
-
- 파밍(Pharming)
-
- 메모리해킹(Memory Hacking)
- 전자금융범죄 피해구제
-
- 피해금 환급
-
- 손해배상
-
- 피해자 지원
- 전자금융범죄 피해 예방
-
- 전자금융범죄 피해 예방 제도
-
- 전자금융범죄 피해 예방 요령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구분 |
내용 |
적용 대상 |
√ 수취계좌(입금계좌) 기준 1회 100만원 이상 현금 입금된 건에 대해 카드 등으로 자동화기기에서 인출할 경우 |
지연 방법 |
√ 1회 100만원 이상이 입금된 후 이체 등으로 잔액이 변동되어도 입금된 금액을 한도로 30분간 인출 지연 |
참여 기관 |
√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요구불예금) 취급기관(은행, 우체국, 농·수·축협 및 산림조합, 신협,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금융투자회사(증권사) 일부 등) |
<출처 : 금융감독원, 민원·신고-보이스피싱 지킴이-보이스피싱 한눈에-주요제도안내-지연인출제도-ATM 지연인출제도 참조>








<출처 : 금융감독원, 민원·신고-보이스피싱 지킴이-보이스피싱 한눈에-주요제도안내-지연인출제도-지연이체서비스 참조>




<출처 : 금융감독원, 민원·신고-보이스피싱 지킴이-보이스피싱 한눈에-주요제도안내-지연인출제도-입금계좌 지정서비스 참조>




<출처 : 금융감독원, 민원·신고-보이스피싱 지킴이-보이스피싱 한눈에-주요제도안내-지연인출제도-해외 ip 차단 서비스 참조>




<출처 : 금융감독원, 민원·신고-보이스피싱 지킴이-보이스피싱 한 눈에-보도자료-“카드론 지연입금 시행”, 2012. 5. 15. 참조>
이 정보는 2022년 6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위 내용에 대한 오류 및 개선의견은 홈페이지 불편사항신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