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차
하위 메뉴
- 자연재해 개관
-
- 자연재해에 대한 이해
- 자연재해 예방 및 대비
-
- 재해영향평가등과 원인조사
-
- 재해위험 지역·지구 등의 지정
-
- 재난방지시설 및 자원 등의 관리
-
- 매뉴얼 운영 및 재난대비훈련
-
- 재해별 예방 대책
- 자연재해 대응
-
- 재난 예보·경보 체계
-
- 재난사태선포 및 조치
-
- 긴급구조
- 자연재해 피해 복구
-
- 재난피해 조사 및 재해복구
-
- 특별재난지역
-
- 비용 등의 지원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 "긴급구조"란 재난이 발생할 우려가 현저하거나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에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긴급구조기관과 긴급구조지원기관이 하는 인명구조, 응급처치, 그 밖에 필요한 모든 긴급한 조치를 말합니다(「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제6호).
■ "긴급구조기관"이란 소방청·소방본부 및 소방서를 말합니다. 다만, 해양에서 발생한 재난의 경우에는 해양경찰청·지방해양경찰청 및 해양경찰서를 말합니다(「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제7호).
■ "긴급구조지원기관"이란 긴급구조에 필요한 인력·시설 및 장비, 운영체계 등 긴급구조능력을 보유한 다음의 기관이나 단체를 말합니다(「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제8호,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제4조 및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규칙」 제2조).



















1. 재난 중 인명 또는 재산의 피해 정도가 매우 크거나 재난의 영향이 사회적·경제적으로 광범위해 주무부처의 장 또는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의 본부장의 건의를 받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본부장이 인정하는 재난
2. 위 1.에 따른 재난에 준하는 것으로서 중앙대책본부장이 재난관리를 위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재난

























이 정보는 2022년 6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위 내용에 대한 오류 및 개선의견은 홈페이지 불편사항신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