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차
하위 메뉴
- 일·가정 양립 근로 환경
-
- 유연한 근무 환경
-
- 배우자 출산휴가
-
- 가족돌봄 지원
-
- 양육 지원
- 육아휴직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 육아휴직
-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 사업주에 대한 지원
- 직장복귀 지원 등
-
- 계속 근로 및 고용 지원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와의 관계
Q. 고용노동부를 통해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를 별도로 신청해서 받았는데, 이런 경우 회사에서 받는 임금은 똑같이 받을 수 있나요?
A. 근로자가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를 받은 경우에는 사업주는 그 금액의 한도에서 지급의 책임을 면하게 됩니다(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8조의2제2항).

즉, 근로자는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를 받게 되면 그 금액을 제외한 임금을 사업주로부터 받게 되는 것입니다.

※ 배우자 출산휴가 시작일과 종료일
Q.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이 출산한 날부터 90일이 지나도 사용할 수 있나요?
A. 배우자 출산휴가는 출산한 날부터 90일 이내에 휴가를 시작하면 되고, 휴가 종료일은 출산일부터 90일이 넘어가도 상관없습니다.
즉, 출산한 날부터 90일 이내에 휴가를 시작하기면 하면 되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출처: 고용노동부,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시행지침』(2019. 9.) 참조>

내용과 무관한 글, 광고성 글, 상호 비방, 법적 책임을 동반할 수 있는 글은 참여자 등의 보호를 위하여 임의 삭제됩니다.
- 이 정보는 2021년 02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국민이 실생활에 필요한 법령을 쉽게 찾아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 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