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화장품 이해하기
-
- 화장품의 개념 및 유형
- 화장품 제조·판매를 위한 영업등록 및 신고
-
- 제조업 및 판매업 등록 개관
-
- 영업 등록 및 신고 절차
-
- 영업자의 준수사항 및 교육 등
- 화장품 제조시 안전기준
-
- 안전한 원료의 사용
-
- 안전용기·포장의 사용
-
- 기능성화장품의 심사 등
- 화장품의 표시와 광고
-
- 화장품의 기재·표시
-
- 화장품의 표시·광고
-
- 천연·유기농화장품 인증 및 표시
- 화장품의 유통·판매 등
-
- 판매 등이 금지되는 화장품
-
- 위해화장품의 자진 회수
-
- 화장품 안전 등을 위한 감시·감독
-
- 화장품 분쟁 발생
- 화장품 영업의 폐업·휴업
-
- 영업의 폐업·휴업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
소비자 :
화장품:
화장품 표시ㆍ광고 주의사항
조회수: 6250건 추천수: 1144건
-
- 얼굴에 여드름으로 인한 흉터가 많아서 화장품을 사용할 때에도 가급적 피부자극이 없는 제품을 사용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화장품 포장에 ‘피부재생’, ‘손상된 피부개선’, ‘상처치료’와 같은 문구가 있던데요, 이런 화장품 광고를 믿고 사용해도 될까요?
-
화장품의 영업자 또는 판매자는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화장품의 표시 또는 광고를 해서는 안 됩니다. 따라서 피부재생, 손상된 피부개선, 상처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식의 화장품 광고는 허위·과대광고에 해당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부당한 표시·광고 행위 등의 금지☞ 영업자 또는 판매자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표시 또는 광고를 해서는 안 됩니다.1.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표시 또는 광고2. 기능성화장품이 아닌 화장품을 기능성화장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거나 기능성화장품의 안전성·유효성에 관한 심사결과와 다른 내용의 표시 또는 광고3. 천연화장품 또는 유기농화장품이 아닌 화장품을 천연화장품 또는 유기농화장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표시 또는 광고4. 그 밖에 사실과 다르게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가 잘못 인식하도록 할 우려가 있는 표시 또는 광고◇ 부당한 표시·광고행위를 한 자에 대한 벌칙☞ 위의 화장품의 표시·광고 시 준수사항을 위반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이 경우 징역형과 벌금형은 이를 함께 부과할 수 있습니다.
관련생활분야 | |
---|---|
관련법령 |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