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https://www.easylaw.go.kr/CSP/images/icon_1.gif)
![](https://www.easylaw.go.kr/CSP/images/icon_arrow03.gif)
![](https://www.easylaw.go.kr/CSP/images/icon_arrow04.gif)
![](https://www.easylaw.go.kr/CSP/images/icon_arrow03.gif)
![](https://www.easylaw.go.kr/CSP/images/icon_arrow02.gif)
구분 |
내용 |
휘발유(가솔린) |
원유를 분별 증류할 때 끓는점의 범위가 약 30~200℃ 정도인 액체상태의 석유를 말하며, 불꽃 점화식으로 점화 플러그를 통해 전기 불꽃을 발생시키는 구동엔진의 연료로 사용됨 |
경유(디젤) |
원유를 증류하였을 때 끓는점의 범위가 약 250~350℃ 정도인 액체상태의 석유를 말하며, 압축 착화식으로 점화 플러그 없이 공기의 압축열을 이용한 자연 발화식 구동엔진에 사용되어 디젤 차량의 고속엔진의 연료로 사용됨 |
액화석유가스(LPG) |
프로판이나 부탄을 주성분으로 한 가스를 액화(液化)한 것[기화(氣化)된 것을 포함]을 말하며(「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제2조제1호), 주로 택시나 렌터카, 장애인 등의 차량의 연료로 사용됨 |
압축천연가스(CNG) |
천연가스를 200∼250kg/㎠의 높은 압력으로 압축한 것으로서, 주로 시내버스나 굴삭기, 지게차 등의 연료로 사용됨 |
바이오 디젤 |
콩기름 등의 식물성 기름을 원료로 해서 만든 바이오연료로서 친환경대체연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대중적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음 |
![](https://www.easylaw.go.kr/CSP/images/icon_arrow03.gif)
![](https://www.easylaw.go.kr/CSP/images/icon_arrow02.gif)
하단 영역
팝업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