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전체메뉴
목차
하위 메뉴
- 스토킹과 데이트폭력
-
- 스토킹과 데이트폭력이 범죄?!
- 도움 요청하기
-
- 어디로 도움을 요청해야 하나요?
-
- 신고하면 어떤 조치가 취해지나요?
- 피해자 보호·지원받기
-
- 피해유형별 보호·지원제도
-
- 피해회복 지원과 피해예방 노력
- 2차 피해 예방 및 개인정보 보호
-
- 2차 피해 예방하기
-
- 개인정보 보호하기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본문 영역
구 분 |
내 용 |
통제 |
·누구와 함께 있는지 항상 확인한다. ·옷차림을 제한한다. ·내가 하는 일이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그만두게 한다. ·일정을 통제하고 간섭한다. ·휴대폰, 이메일, SNS 등을 자주 점검한다. |
언어적·정서적 ·경제적 폭력 |
·욕을 하거나 모욕적인 말을 한다. ·위협을 느낄 정도로 소리 지른다. ·안 좋은 일이 있을 때 “너 때문이야”라는 말을 한다. ·나를 괴롭히기 위해 악의에 찬 말을 한다. ·내가 형편없는 사람이라고 느낄 정도로 비난한다. |
신체적 폭력 |
·팔목이나 몸을 힘껏 움켜쥔다. ·세게 밀친다. ·팔을 비틀거나 머리채를 잡는다. ·폭행으로 삐거나 살짝 멍/상처가 생긴 적이 있다. ·뺨을 때린다. |
성적 폭력 |
·나의 의사에 상관없이 신체부위를 만진다. ·내가 원하지 않는데 애무를 한다. ·나의 기분에 상관없이 키스를 한다. ·내가 원하지 않는데 성관계를 강요한다. |
피해자가 데이트폭력을 당할 만한 짓을 했을 것이다? |
|
갈등의 이유가 무엇이든 소리를 지르거나 폭력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폭력은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고, 어떠한 폭력도 허용해선 안 됩니다.
데이트폭력 가해자는 폭력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원인을 피해자에게 돌리기 때문에 피해자에게 ‘나만 잘하면 가해자가,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하게끔 만들고 폭력이 지속되게 합니다. |
|
때리지만 않으면 정말 괜찮은 사람이다? |
|
가해자는 자신의 폭력을 실수로 포장하거나 폭력 행사 이후 더욱 다정하게 대해 가해자의 폭력이 잘못됐음을 피해자가 인지하지 못하게 합니다. 폭력은 경중, 빈도수를 막론하고 폭력일 뿐입니다. |
|
피해자도 좋으니까 계속 만나는 것이다? |
|
데이트폭력을 사소한 문제로 보는 시선, 심리사회적 고립, 일상화된 폭력 등이 적극적 대항을 어렵게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친밀한 관계의 폭력이 가진 특징입니다. 헤어진 이후 보복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이별을 통보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데이트폭력 피해자는 ‘좋게 헤어지는 것’이 가능하다고 믿거나 두려움으로 스스로를 자책하면서 관계를 지속하게 되므로 주변의 지지와 도움이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