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SMART 생활법률

qr코드 모바일
앱 다운로드

결혼준비자

목차

하위 메뉴

현재위치 및 공유하기

생활법령 내 검색

생활법령 내 검색

본문 영역

 신분관계의 변화
결혼을 하면 부부라는 공동생활체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친족관계, 부부공동생활상 의무, 일상가사대리권, 부부간 계약취소권 등이 발생합니다.

또한, 미성년자가 부모, 후견인 또는 친족회 등의 동의를 받아 결혼한 경우에는 미성년임에도 불구하고 성년에 달한 것으로 보아 성년자와 동일한 행위능력을 갖게 됩니다.
친족관계의 발생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친족관계의 발생
결혼하면 부부는 배우자라는 신분을 얻게 되는 동시에 남편 또는 아내의 친족과 인척관계를 맺게 되는데, 인척의 범위는 혈족의 배우자(며느리, 사위 등), 배우자의 혈족(장인·장모, 시부모, 처제, 시동생 등), 배우자의 혈족의 배우자(동서 등)입니다(「민법」 제769조).
결혼이 취소되거나 이혼하면 인척관계가 종료됩니다(「민법」 제775조제1항).
인척관계는 부부의 일방이 사망하더라도 소멸되지 않지만, 생존배우자가 재혼한 경우에는 소멸됩니다(「민법」 제775조제2항).
부부공동생활상 의무 발생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동거(同居)의무
부부는 동거할 의무를 부담합니다. 다만, 출장·전근·입원 등 정당한 이유로 일시적으로 동거하지 않는 경우에는 서로 인용(認容)해야 합니다(「민법」 제826조제1항).
배우자가 동거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법원에 동거에 관한 심판을 청구할 수 있으며[「가사소송법」 제2조제1항제2호나목 1)], 악의(惡意)를 가지고 상대방을 유기(遺棄)했다는 이유로 이혼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840조제2호).
부부의 동거 장소는 부부가 협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당사자의 청구에 따라 가정법원이 정하게 됩니다(「민법」 제826조제2항).
부양의무
부부는 부양이 필요한 상대 배우자를 부양할 의무를 부담합니다(「민법」 제826조제1항).
대법원은 “「민법」 제826조제1항에 규정된 부부간의 상호부양의무는 부부의 일방에게 부양을 받을 필요가 생겼을 때 당연히 발생하는 것이기는 하지만...”(대법원 2008. 6. 12. 자 2005스50 결정)이라고 해서, 부부의 부양의무가 발생하는 시기를 상대 배우자에게 부양받을 필요가 생긴 때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부양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배우자가 부양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법원에 부양에 관한 심판을 청구할 수 있으며[「가사소송법」 제2조제1항제1호나목 1)], 악의(惡意)를 가지고 상대방을 유기(遺棄)했다는 이유로 이혼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840조제2호).
협조의무
부부는 서로 협조할 의무를 부담합니다(「민법」 제826조제1항).
배우자가 협조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법원에 협조에 관한 심판을 청구할 수 있으며[「가사소송법」 제2조제1항제2호나목 1)], 결혼생활을 지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에 해당함을 이유로 이혼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840조제6호).
정조(貞操)의무
부부는 정조의무를 부담합니다.
상대 배우자가 정조의무를 위반한 경우에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민법」 제806조 제843조), 이혼을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민법」 제840조제1호). 또한, 배우자가 있음을 알면서도 통정(通情)한 상대방에 대해서는 공동불법행위책임을 물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760조).
일상가사대리권 발생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일상가사"란?
"일상가사"란 부부의 공동생활에 필요한 통상의 사무를 말합니다. 일상가사의 범위는 부부의 직업·재산·수입·생활수준·지역차이·사회적 지위 등 모든 생활형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회통념에 따라 개별적·구체적으로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식료품이나 생활용품의 구입, 주택의 월세지급, 자녀의 양육비 지출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일상가사대리권
부부는 일상가사의 범위에서 서로를 대리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827조제1항).
일상가사에 속하지 않는 사항에 관해 배우자를 대리하려면 위임장을 받거나 구두로 확인을 받는 등 별도의 수권(授權)행위가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별거해서 외국에 체류 중인 배우자의 재산을 처분하는 행위, 매매대금이 거액에 이르는 대규모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금전을 빌리는 행위 등은 일상가사에 속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고 별도로 대리권을 수여받아야 합니다(대법원 1993. 9. 28. 선고 93다16369 판결, 대법원 1997. 11. 28. 선고 97다31229 판결 등).
성년의제 주소복사 즐겨찾기에추가
성년의제(成年擬制)
미성년자가 결혼하면 성년자로 보아(「민법」 제826조의2), 성년자와 동일한 행위능력을 갖게 됩니다. 즉, 후견인, 유언의 증인, 유언집행자가 될 수 있으며, 친권과 소송능력(「민사소송법」 제55조)도 인정됩니다.
다만, 「민법」상의 행위능력만 인정될 뿐이고, 「공직선거법」, 「청소년 보호법」, 「근로기준법」, 「국세기본법」 등에서는 여전히 미성년자로 취급됩니다. 즉, 선거권·투표권·피선거권이 없으며, 상속세를 납부할 때 미성년자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2024년 2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위 내용에 대한 오류 및 개선의견은 홈페이지 오류신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단 영역

팝업 배경